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기술 Tip

윈도우에서 한영 전환키를 변경해보자!(Shift + Space, etc.)

by Dead Brain 2021. 8. 25.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86, 101, 103, 106키 등 키버튼의 숫자로 구분이 됩니다.

 

키보드 오른쪽에 있는 숫자패드가 없다면 86키, 주로 소형노트북이나 컴팩트한 기계식 키보드에 자주사용되는 편이죠.

숫자패드가 있는데 한영/한자 키가 없다면 101키, 이거는 예전에 써봤는지 기억이 안나네요.

그리고 101키에서 한영/한자 키가 추가되면 요즘 많이 사용하는 103/106키가 됩니다. 저도 사무실에서는 103키를 사용중입니다.

 

물론 실제로 키의 숫자를 세본 적은 없습니다...

 

86키 기계식 키보드.. 생각보다 불편합니다.

 

어쨌든 103키를 정말 오랬동안 써왔습니다. 한영키는 원래 그자리.. 스페이스바 우측에 있는 것으로 당연하게 생각해왔었구요. 언제부터인가 영타를 치는 업무가 더 많아질 무렵 한영키의 위차가 상당히 애매하게 느껴졌습니다.

키보드를 칠 때 보면 한영키는 항상 오른손의 손바닥 중앙에 와 있기 때문에 엄지나 중지로 누르는데 그 이동거리가 꽤 멀기때문이죠.

 

한영키는 손바닥 아래 절묘하게 힘든 위치에 있다.

맥북의 경우 Commnad + Space로 전환이 되기때문에 오히려 편합니다. 윈도우에서도 한영키가 아닌 다른 키로 한영 전환이 가능합니다. 

 

키보드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방법은 대략 3가지입니다.

  1. 윈도우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을 변경
  2. 윈도우의 레지스트리 값을 수정
  3. 별도의 키보드 프로그램을 사용

일단 저는 2, 3번과 같이 레지스트리를 건드리거나 자질구레한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윈도우 작업표시줄 좌측하단의 검색란에 '언어'를 입력하면 나타나는 '언어 설정'을 실행합니다.

 

언어 설정 실행

 

왼쪽 메뉴에서 '언어'를 선택한 후 우측의 '기본 설정 언어'에서 '한국어'를 선택하게 되면 [옵션] 버튼이 나타납니다. 이 버튼을 클릭합니다.

 

기본 언어설정

 

'하드웨어 키보드 레이아웃'에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을 누르면 키보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103/106키외에 101키 종류 3가지가 더 표시됩니다.

키보드 레이아웃 선택

각 키보드 레이아웃에서의 한영 및 한자키 전환 버튼은 다음과 같습니다.

키보드 레이아웃 한영키 한자키
103/106키 [한/영] 버튼 [한자] 버튼
101키 종류1 오른쪽 [Alt] 오른쪽 [Ctrl]
101키 종류2 오른쪽 [Ctrl] 오른쪽 [Alt]
101키 종류3 [Shift + Space] [Ctrl + Space]

저의 경우에는 [Alt], [Ctrl] 보다는 맥북과 비슷하게 스페이스바를 함께 누르는 것을 더 선호해서 '101키 종류 3'인 [Shift + Space]를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엇을 선택하시던 부팅은 한번 해야 적용이 됩니다.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키조합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오히려 불편할 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가 사용하는 86키 기계식 키보드에서는 출고시 이미 제조사에서 커스텀된 조합으로 셋팅되어 한글과 영문을 전환하는데 불편했는데 레이아웃을 변경하고 나서는 정말 편리해졌습니다. 오랜 세월 [한/영]키에 적응된 몸이다보니 [Shift + Space]로 바꾼게 가끔 헷갈리는 때도 많이 있습니다. 시간이 좀 더 걸리겠네요..